맨위로가기

박카스 스타리그 2009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카스 스타리그 2009는 동아제약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스타리그로, 2009년 5월 1일부터 8월 22일까지 진행되었다. 36강, 16강, 8강, 4강,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상금 1억 800만원 규모로 우승 상금은 4000만원이었다. 결승전은 서울 올림픽공원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에서 열렸으며, 이제동이 박명수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저그 대 저그 결승전, 이제동의 2연속 우승 및 골든 마우스 획득 등의 기록을 남겼다.

2. 대회 개요

박카스 스타리그 2009는 '나를 강하게 하는 친구'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진행되었다. 리그 컨셉은 36강에서 스타리그 10주년과 물결을, 16강에서는 물을 주제로 하였다.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36강 방식을 유지했다. 스타리그 예선을 통과한 23명과 지난 시즌 중도 포기자 손찬웅, 지난 대회 4강 진출자를 제외한 12명의 선수가 3명씩 12개 조로 나뉘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에서는 PC방 예선 통과자 2명이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승자가 지난 대회 16강 진출자와 다시 3전 2선승제로 대결하여 최종 승자가 16강에 진출했다. 16강은 4명 4개조 풀리그, 8강은 3전 2선승제,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대회 일정은 다음과 같다.



경기 장소는 예선의 경우 용산 이스포츠 보조 경기장, 본선은 용산 이스포츠 상설 경기장이었다. 결승전은 서울올림픽공원 SK올림픽핸드볼경기장에서 열렸다.

총 상금 규모는 1.08억이며,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다.

순위상금
우승4000만
준우승2000만
시드자 2명1인당 700만
8강 진출자 4명1인당 300만
16강 진출자 8명1인당 200만
36강 1위25만
36강 2위15만
36강 3위10만


2. 1. 후원

동아제약 '박카스'가 박카스 스타리그 2008에 이어 두 번째로 스타리그를 후원했다. 동아제약은 "젊은이들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로 확고히 자리 잡은 스타리그를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후원하게 돼 무척 기쁘다"며 "이번 후원을 통해서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더불어 젊은 층과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1]

2. 2. 대회 방식

지난 시즌(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의 대회 방식을 이어받아 36강 방식을 고수했다. 스타리그 예선(일명 PC방 예선)을 뚫고 올라온 23명, 지난 시즌 도중 포기를 한 손찬웅과 지난 대회 4강 진출자 4명을 제외한 지난 대회 스타리거 12명이 한 조에 3명씩 총 12개조를 이루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을 펼친다. 각 조에 PC방 예선을 통과한 두 명의 선수가 먼저 3전 2선승제로 대결을 펼치고, 여기서 승리한 선수가 지난 대회 16강 스타리거와 3전 2선승제로 대결하여 최종 승리한 선수가 스타리그 16강에 진출한다. 16강은 4명 4개조 풀리그, 8강은 3전 2선승제,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 등 16강 이후의 방식은 전통적인 스타리그 방식과 동일하다.

2. 3. 출전 선수

구분종족이름
36강테란11고인규, 김창희, 민찬기, 박동수, 손주흥, 신상문, 신희승, 이영호, 이재호, 진영수, 한동욱
저그16김명운, 김상욱, 김정우, 김준영, 문성진, 박명수, 박성준, 박찬수, 박태민, 신노열, 신대근, 유준희, 이승석, 이영한, 정영철, 한상봉
프로토스9김택용, 김구현, 송병구, 손찬웅, 박세정, 서기수, 김승현, 도재욱, 장민철
16강테란6고인규, 김창희, 신상문, 이영호, 정명훈, 진영수
저그7김명운, 김정우, 문성진, 박명수, 이제동, 조일장, 한상봉
프로토스3김택용, 손찬웅, 송병구



; 종족별 분포


  • '''테란'''(5/7) - 정명훈, 신상문, 신희승, 이영호, 진영수, 김창희, 박동수, 손주흥, 한동욱, 민찬기, 이재호, 고인규
  • '''저그'''(6/12) - 이제동, 조일장, 김준영, 박명수, 박찬수, 박성준, 신대근, 문성진, 정영철, 이승석, 이영한, 한상봉, 김명운, 김상욱, 유준희, 신노열, 김정우, 박태민
  • '''프로토스'''(6/4) - 김택용, 송병구, 도재욱, 김구현, 서기수, 손찬웅, 김윤중, 김승현, 장민철, 박세정


; 팀별 분포

  • '''SK텔레콤'''(3/3) - 정명훈, 김택용, 도재욱, 정영철, 이승석, 고인규
  • '''하이트'''(2/3) - 신상문, 김창희, 박명수, 문성진, 김상욱
  • '''STX'''(4/1) - 조일장, 진영수, 박성준, 김구현, 김윤중
  • '''삼성전자'''(1/2) - 송병구, 박동수, 유준희
  • '''이스트로'''(2/1) - 신희승, 서기수, 신대근
  • '''화승'''(2/1) - 이제동, 손찬웅, 손주흥
  • '''웅진'''(1/2) - 김준영, 김명운, 김승현
  • '''KTF'''(2/0) - 이영호, 박찬수
  • '''위메이드'''(0/3) - 이영한, 신노열, 박세정
  • '''CJ'''(0/2) - 한상봉, 김정우
  • '''공군'''(0/2) - 박태민, 한동욱
  • '''MBC게임'''(0/3) - 민찬기, 이재호, 장민철

2. 4. 대회 일정

2. 5. 상금

총 상금 규모는 1.08억이며, 다음과 같이 분배되었다.

순위상금
우승4000만
준우승2000만
시드자 2명1인당 700만
8강 진출자 4명1인당 300만
16강 진출자 8명1인당 200만
36강 1위25만
36강 2위15만
36강 3위10만


2. 6. 경기장

3. 사용 맵

박카스 스타리그 2009의 36강에서는 신규 맵 ‘홀리월드’가 1경기에, 예선에 사용되었던 ‘아웃사이더’와 ‘왕의 귀환’이 각각 2, 3경기에 사용되었다. 16강에서는 36강에서 사용되었던 맵들과 함께 ‘단장의 능선’이 추가되었다.

3. 1. 오프라인 예선

지난 시즌 스타리그 공식 맵이었던 ‘왕의 귀환’과 프로리그 맵인 ‘신의 정원’, ‘아웃사이더’가 사용되었다.

3. 2. 36강

36강에서는 신규 맵인 '홀리월드'가 1경기에 사용되었고, 예선에 사용되었던 '아웃사이더'와 '왕의 귀환'이 각각 2, 3경기로 진행되었다.

3. 3. 16강

36강에서 사용되었던 홀리월드 SE, 아웃사이더, 왕의 귀환과 함께 단장의 능선이 사용된다.[1]

4. 대회 진행

박카스 스타리그 2009는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36강 방식을 유지했다. 스타리그 예선(일명 PC방 예선)을 통과한 23명, 지난 시즌 도중 참가를 포기한 손찬웅과 지난 대회 4강 진출자를 제외한 12명의 스타리거가 36강에 참여했다. 36강은 3명씩 12개 조로 나뉘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 각 조에서는 예선 통과자 2명이 먼저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승자가 지난 시즌 16강 진출자와 3전 2선승제 경기를 펼쳐 최종 승리자가 16강에 진출했다.[1]

36강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고 종족별 배분 등을 고려하여 추첨했다. 예선 진출 선수 간 3전 2선승제 경기(매치 1) 후, 승자가 지난 시즌 16강 리거와 3전 2선승제 경기(매치 2)를 통해 16강 진출자를 가렸다.[1]

16강은 조지명식에 따라 각 선수들이 3경기씩, 총 6경기를 치렀다. A, B, C조에서 재경기가 열릴 가능성이 있었지만 무산되어, 7월 셋째 주에는 스타리그가 방송되지 않았다.

8강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A, B, C조에서 팀킬전이 발생하여 하이트 스파키즈 선수 중 한 명은 결승에 진출하는 것이 확정되었다.[1]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1]

4. 1. 스타리그 예선

스타리그 예선은 지난 시즌 부상으로 출전을 포기한 손찬웅(화승)이 36강에 직행하면서, 예선에서 23명의 선수만 선발하였다. 23개조 조별 8강 혹은 9강 토너먼트 체제로 조 우승을 차지한 선수만이 스타리그 36강 본선으로 올라갈 수 있었다. 경기는 3전 2선승제로 진행되며 각 조 1위 23명이 36강에 진출한다. 오전 조, 오후 조 각각 8개조, 저녁 조는 7개조씩 진행했으며 총 12개 프로게임단의 205명이 출전했다.[1]

A조B조C조D조E조F조G조H조I조J조K조L조
한상봉김명운문성진김상욱김창희유준희박동수이영한이승석신노열손주흥신대근
M조N조O조P조Q조R조S조T조U조V조W조
정영철김정우김윤중박태민이재호한동욱민찬기고인규김승현박세정장민철



지난 시즌 16강 진출에는 성공했지만, 4강 진출에 실패한 12명의 선수들은 36강 시드를 받았다.[1]



손찬웅은 지난 바투 스타리그 와일드카드전에서 16강에 진출했던 김택용이 4강에 올라 16강 시드를 획득함에 따라 36강 1차전 시드를 얻게 되었다.[1]

4. 2. 36강

지난 시즌의 대회 방식을 이어받아 36강 방식을 고수했다. 스타리그 예선(일명 PC방 예선)을 뚫고 올라온 23명, 지난 시즌 도중 포기를 한 손찬웅과 지난 대회에 4강에 오른 4명을 제외한 지난 대회 스타리거 12명이 한 조에 3명씩 총 12개조를 이루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을 펼쳤다. 각 조에 PC방 예선을 통과한 두 명의 선수가 먼저 3전 2선승제로 대결을 펼치고 이에 승리한 선수가 지난 대회 16강 스타리거와 3전 2선승제 대결을 펼쳐 최종 승리한 선수가 스타리그 16강에 진출했다.[1]

36강의 조 편성은 팀 배분을 우선하여 종족별 배분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 추첨이 되었다. 예선을 진출한 선수들 두 선수끼리 매치 1에서 3전 2선승제로 대결한 후 승리한 선수가 지난 시즌 16강 리거와 매치 2의 경기를 붙어 이기는 선수가 16강에 진출했다.[1]


4. 3. 16강

16강 조지명식에 따라 결정된 조에 따라서 각 선수들은 3경기씩, 총 6경기를 치렀다.

A, B, C조에서 재경기가 열릴 가능성이 있었지만, 모두 무산되었다. 이 때문에 7월 셋째 주에는 스타리그가 방송되지 않았다. 원래 그 주에 재경기를 할 예정이었다.

A조B조C조D조
이제동2승 1패정명훈3승 0패김택용1승 2패조일장1승 2패
김정우1승 2패손찬웅0승 3패김창희2승 1패신상문2승 1패
이영호1승 2패문성진2승 1패진영수0승 3패한상봉1승 2패
박명수2승 1패송병구1승 2패김명운3승 0패고인규2승 1패


4. 4. 8강 ~ 결승

8강은 3전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 A조, B조, C조에서 팀킬전이 발생하여 하이트 스파키즈 선수 중 한 명은 무조건 결승에 진출하는 것이 확정되었다.[1] 4강과 결승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1]

8강 1경기8강 2경기4강 1경기결승
박명수 2 : 1 김창희이제동 2 : 0 김명운박명수 3 : 0 문성진이제동 3 : 0 박명수
신상문 1 : 2 문성진정명훈 2 : 0 고인규이제동 3 : 1 정명훈


5. 대회 결과

Bacchus Starleague영어 2009 우승자는 이제동이다. 이제동은 3번째 우승으로 3대 골든마우스 수상자가 되었다.[1] 준우승은 박명수가 차지했으며, 4강에는 문성진, 정명훈이 진출했다.[2]

박카스 스타리그 2009 결과
우승이제동 (3번째 우승, 3대 골든마우스 수상)
준우승박명수
4강문성진, 정명훈


6. 특이사항

Bacchus영어 스타리그 2009의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 그래픽 패키지 테마를 '워터 마크'로 했다.
  • 바투 스타리그 2008에 이어 이제동 (화승 OZ)이 탑시드, 김택용 (SK텔레콤 T1)이 3번 시드를 받았다.
  • 신한은행 스타리그 2006 Season 3 (Reverse Temple) 이후 3년 만에 역언덕 맵(HolyWorld [SE])이 공식 맵으로 사용되었다.
  • 36강 선수 소개에 선수들의 출사표가 등장했다.
  • 박태민 vs 손찬웅 경기에서 1, 2세트 모두 몰수패가 발생하여, 사상 초유의 2번 연속 몰수패가 기록되었다.[2]
  • 역대 16강 오프닝 중 최초로 수중 촬영을 진행했다.
  • 이제동, 김정우, 이영호, 박명수가 A조에 편성되어 '죽음의 조'가 만들어졌다.
  • 16강은 재경기 없이 A, D조는 2승 1패 2명, 1승 2패 2명, B, C조는 3승, 2승 1패, 1승 2패, 3패로 끝났다.
  • 8강 대진 중 3개의 조에서 팀킬 대진이 완성되었다.

선수 1선수 2
A조박명수하이트김창희하이트
B조문성진하이트신상문하이트
C조고인규SK텔레콤 T1정명훈SK텔레콤 T1


  • 8강 조추첨 결과, 하이트 스파키즈의 스타리그 결승전 진출이 확정되었다.
  • 8강전에서 B조의 송병구, 손찬웅, C조의 김택용이 모두 탈락하여 프로토스가 전멸했다.
  • 8강 투어는 2회 연속으로 없었다.
  • 정명훈인크루트 스타리그 2008, BATOO 스타리그 2008에 이어 3시즌 연속 4강에 진출했다.
  • 박명수는 개인리그 진출 후 최초로 결승에 진출했다. (4강 vs 문성진(Z) 3-0 승)
  • 스타리그 최초로 저그 대 저그 결승전이 성사되었다. (박명수 vs 이제동)
  • 이제동은 저그 최초로 2연속 스타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 이제동은 스타리그 역사상 최단 기간, 최연소(1년 후인 2010년 이영호가 최연소 기록을 다시 갱신함.)로 3번째 골든 마우스를 획득했다.
  • 이제동은 스타리그 최초로 결승전에서 전 종족을 상대로 승리했다.

대회상대 선수종족
EVER 스타리그 2007송병구프로토스
BATOO 스타리그 2008정명훈테란
박카스 스타리그 2009박명수저그

7. 사용 음악

구분사용 음악
예선전 예고켈리 클락슨, ‘My Life Would Suck Without You’
예선전 경기시작전 영상린킨 파크, ‘Given Up’
예선전 조편성표 소개엘리엇 마이너, ‘Jessica’
36강 오프닝켈리 클락슨, ‘My Life Would Suck Without You’
16강 조지명식 타이틀곡켈리 클락슨, ‘My Life Would Suck Without You’
16강 타이틀곡켈리 클락슨, ‘My Life Would Suck Without You’
오프닝 멘트올 아메리칸 리젝트, ‘I Wanna’
최근 10경기Cute Is What We Aim For, ‘Loser’
경기시작전/경기종료후Fighting With Wire, ‘Everyone Needs A Nemesis’
선수 소개더 레드 점프슈트 애퍼래터스, ‘Senioritis’
Today Match & Result엘리엇 마이너, ‘Jessica’
36강 A조 예고(36강 예고)(예선전 엔딩)Hey Monday, ‘Run, Don't Walk’
36강 C조 예고켈리 클락슨, ‘I Do Not Hook Up’
결승전 타이틀곡마릴린 맨슨, `mOBSCENE'
결승전 Set 하이라이트Foo Fighters - Monkey Wrench


8. 맵 정보

박카스 스타리그 2009 맵 정보
종족왕의 귀환OutsiderHoly WorldHoly World SE단장의 능선
인원43442
P vs Z0:22:52:40:00:2
Z vs T4:810:55:64:31:2
T vs P3:12:21:10:00:0
Z vs Z4번4번2번4번2번
T vs T1번2번1번0번3번
P vs P0번1번1번1번0번


참조

[1] 뉴스 차기 스타리그, 박카스 스타리그 2009로 결정! http://www.fomos.kr/[...] 포모스 2009-04-22
[2] 뉴스 박태민, 두 경기 연속 몰수패 초유 사태 발생 http://www.fomos.kr/[...] 포모스 2009-05-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